분류 전체보기
-
Hackrf one을 이용한 Replay AttackHacking/Wireless 2018. 6. 5. 16:36
오늘은 Hackrf one을 이용한 Replay Attack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그 중에서도 대학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크린을 공격해보았습니다. 스크린을 조종하는 리모컨은 주파수 통신을 하며 리모컨 뒤를 살펴보면 주파수 대역이 적혀있었습니다. (보통 이런 기기들은 적혀있습니다) Replay Attack을 위해 GNU Radio-Companion을 이용하였습니다. * Record* Replay 우선 스크린을 올리는 주파수를 먼저 잡고 Record 해줍니다. 아주 간단합니다~ 자 이제 그것을 그대로 쏴주면?? 스크린이 올라가게 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다른 기기들을 가지고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포스팅한 내용들과 마찬가지로 악용은 절대로 안된다는 점 꼭 유의해주시기바랍니다!
-
Kali GNU Radio 사용하기 (Feat.osmocom block이 안보이거나 없을 때)Kali-Linux 2018. 6. 2. 04:47
apt-get install hackrfapt-get install gnuradio Kali linux에서 GNU Radio를 설치하고 실행하게되면 이런 에러메세지가 나온다.. ;; 그럴때는 일단 pybombs를 설치하자! PYBOMBS는 (Python Build Overlay Manged Bundle System)을 의미하며 의존성을 해결하고 트리밖으로 프로젝트르 가져오는 GNU Radio 설치관리 시스템이다!! 참조 : https://github.com/gnuradio/pybombs apt-get install git git clone git://github.com/pybombs/pybombs.git cd pybombs pybombs에 들어가면 Read me가 있다 Readme를 보고 순서대로 진행해..
-
Beacon frame 이용한 프로그램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Hacking/Wireless 2018. 5. 29. 00:36
안녕하세요~ 오늘 제가 포스팅할 내용은 무선랜 패킷을 이용한 Beacon Flooding 입니다. 프로그램 이름은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입니다. 그 이유는 동화속 이야기처럼 AP의 범위를 지나게 되면 익명의 누군가의 글귀를 보게 되기 때문인데요. 이 프로그램을 이용한다면 자신이 하고싶은 말을 SSID로 이용하거나 홍보하고 싶은 말을 적을 수 가 있습니다. 물론 활용도는 사용자에 따라 다양해지겠죠? 무선랜 패킷 중에 제가 구현에 사용한 패킷은 Beacon Frame 패킷인데요. 구현 원리는 생각보다 굉장히 간단하답니다~ Beacon Frame 패킷은 쉽게 말해 AP가 자신의 존재를 나타내는 패킷으로 AP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AP는 이러한 Beacon 패킷을 주기적으로 발생시켜 Stati..
-
Kali linux에서 가상 인터페이스 생성과 디버깅 꿀팁!Network/Network 2018. 5. 23. 02:59
가상의 wireless adapter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디버깅할 때 조금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modprobe mac80211_hwsim위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wireless adapter를 생성하고 확인해보면 wlan0과 wlan1가 생성됨이 확인된다. tcpreplay -i wlan0 test.pcap위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생성된 dummy interface에 자신이 저장해놓은 pcap파일을 쏘아서 몇 번이고 같은 디버깅을 할 수 있다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을 할 때, 이런 방법은 디버깅에 많은 도움이 된다.
-
Wireshark ieee80211 filter걸기Network/Network 2018. 5. 17. 22:25
Wireshark에서 ieee80211 패킷에 대한 필터를 거는 방법이다. 생각보다 간단하다! ieee802.11의 frame의 type과 subtype을 써주면 된다! 몇 가지 filter를 적어놓았다. Beacon frame wlan.fc.type_subtype == 0x08 802.11 Block Ack wlan.fc.type_subtype == 0x19 Probe Request wlan.fc.type_subtype == 0x04 Probe Response wlan.fc.type_subtype == 0x05 Qos Data wlan.fc.type_subtype == 0x28 Deauthentication wlan.fc.type_subtype == 0x0c Clear-to-send wlan.fc.ty..
-
Ubuntu root권한으로 자동로그인 및 활성화ETC 2018. 4. 23. 04:39
root권한으로 바로 자동로그인 하기 위한 설정들이다. 우선 계정관리에서 자물쇠 그림이 그려진 잠금해제 버튼을 눌러서 설정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그 뒤 자동로그인 부분을 On 해준다. 그렇게 되면 ligthdm.conf 파일이 생성된다. sudo gedit /etc/lightdm/lightdm.conf 경로의 lightdm.conf 파일에 아래와 같이 수정해준다. (기존엔 root가 아닌 계정명이 쓰여있음, root로 변경) 이번엔 부팅시 처음부터 root를 사용할 수 있는 설정이다. /usr/share/lightdm/lightdm.conf.d/50-ubuntu.conf해당파일에 아래와 같이 greeter-show-manual-login=true 를 추가해주자 재부팅해보면 root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