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1767.프로세서 연결하기알고리즘/SW Expert Academy 2020. 6. 16. 23:37
이번에 풀어볼 문제는 SW Expert의 샘플 문제 1767번 프로세서 연결하기이다. 굉장히 재미있는 문제였던거 같다. 물론 한 번에 못풀었다.. 처음 도전했을 때는 끝에가서 설계를 잘못했다는 걸 깨달았고 다음날 다시 처음부터 풀었다. 항상 말하지만 충분한 생각과 설계가 중요하다. 두 번째 다시 도전했을 때 충분한 생각과 설계 후 한 번에 맞았다. => 한 번에 맞았다는 것과 나의 설계가 맞아서 그런지 기분이 좋다ㅎㅎ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나의 설계는 다음과 같다. 1. 벽면에 붙어 있는 Core들은 바로 전원이 연결되기 때문에 탐색에서 제외한다. 2. 나머지 Core들을 탐색하되 가..
-
5650.핀볼 게임알고리즘/SW Expert Academy 2020. 6. 14. 13:40
이번에 풀어볼 문제는 핀볼게임이다. 정답률은 31%정도인데 나의 체감은 60%정도가 맞지 않나싶다. 오히려 5656번 벽돌깨기가 체감난이도가 더 높았다. 근데 그건.. 정답률이 60%... 여튼 한 번에 풀어서 다행이다. 톱니봐퀴나 핀볼게임이나 공통점은 문제를 풀면서 딱히 큰 예외를 신경쓰지 않아도 될 것같다는 느낌과 정확하게만 구현하면 딱히 큰 예외가 없어서 한 번에 정답이 맞겠다는 느낌이 오는 문제였다는 것이다. 내 코드가 좋다는 것은 아니지만 그냥 하라는대로 하니까 풀린 문제이다.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설명은 딱히 없다. 풀이 방식은 다음과 같다. 1. 빈 칸에 핀볼이 떨어져서 ..
-
5656.벽돌깨기알고리즘/SW Expert Academy 2020. 6. 12. 00:53
이번문제는 SW Expert의 벽돌깨기이다. 정답률은 60% 정도지만 솔직히 말도안되는거같다.. 난이도가 상당히 높게 느껴졌고 정답률이 크게 의미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못하는건가.. 쩝..) 구현은 하나하나씩 필요한 것들을 구현했고 어떻게 푸는 줄은 알겠는데 아직도 구현이 안되는 부분들이 있었다. 그런 부분들은 구글링을 통해서 진행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스크케이스 50개중 47개만 맞았다.. 결국 질문을 올렸고 check 배열을 초기화하는 순서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 답변자분 감사합니다ㅠ )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문제 자체는 어렵다는 생각이 들지만 도움은 ..
-
2117.홈 방범 서비스알고리즘/SW Expert Academy 2020. 6. 6. 21:30
이번에 풀어볼 문제는 SW Expert 2117 홈 방범 서비스다. 난이도는 역시나 그렇게 어려운 거같진 않지만 이번에 느낀점은 역시 예외상황을 확인하려면 예시를 잘봐야한다. 이 문제에서 나의 실수는 탐색에 있었다. 이 문제는 전부다 탐색을 해봐야 하는데.. 나는 집위주로만 탐색을 했다. 허허허.. 여튼 다시수정했으니 됐지만...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1. 탐색을 언제 끝마칠지 판단해야함 => 서비스 범위가 맵을 넘어서면 정지 2. 언제 최대값을 가져갈지 생각해야함 => 이득 - 운영비용이 적자가 나지 않으면 해당 값을 최대치와 비교 3. 탐색하는 좌표에 집이 있는 경우 => 집 갯수..
-
5653.줄기세포배양알고리즘/SW Expert Academy 2020. 6. 6. 16:40
이번에 풀어볼 문제는 SW Expert의 줄기세포 배양이다.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이 문제에서는 배울게 정말 많았던거 같다. 내용은 그렇게 어렵지않다. 그냥 문제에서 시키는대로 하면된다. 문제는 그 설계가 생각보다 복잡하다는 것이다. 결국 다른사람의 코드를 보고 이해하면서 배우는 선택을 했다.. 후..;; ( 참고 : https://it-earth.tistory.com/51 ) 이 분의 풀이법을 보면 굉장히 체계적으로 딱딱 맞아떨어진다고 생각한다. vector를 구조체를 이용해서 정확하게 문제에서 필요한 요구조건들을 확인해간다. 무엇보다 탐색기준을 시간을 잡는 건 생각을 못했던거 같다..
-
1949.등산로 조성알고리즘/SW Expert Academy 2020. 6. 3. 22:51
이번에 풀어볼 문제는 SW Expert의 1949 등산로 조성이다. ( 아래링크는 SW Expert 로그인하고 눌러야함.. )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난이도는 높지않지만 한 가지를 빼먹어서 테스트 케이스 50개중 48개만 맞았다.. 제엔자앙!!!!!!! => 완벽한 설계인줄 알았는데... 닿을 듯 말 듯하네.. ㅎㅎ 여기서 중요한 점은 깎는 점에 대한 처리인데 언제깎아야할지는 생각보다 간단하다. 0. 제일 높은 봉우리를 찾고난 뒤 => 제일 높은 봉우리 일때만 해당좌표를 시작으로 탐색을 진행한다. => 탐색(BFS)은 재귀함수로 진행!! => 그렇지 않으면 c..
-
5644.무선충전알고리즘/SW Expert Academy 2020. 6. 2. 22:57
이번에 풀어볼 문제는 SW Expert의 5644 무선충전이다. ( 아래링크는 SW Expert 로그인하고 눌러야함.. )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결론은 설계실패로 문제를 풀지 못했다 => 다른분의 블로그를 참조하여 공부함 : https://swjeong.tistory.com/162 3시간을 초과했고 설계실패의 이유는 한가지를 간과했다. 1. BC의 범위를 배열에 표시했다. 2. A사용자와 B사용자가 중복되는 구간을 따로 배열을 만들어 표시했다. 3. 중복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의 합을 구했다. 4. 설계 실패가 발생한 지점 => 중복구간에서 어떤 BC들이 ..
-
14503.로봇청소기알고리즘/백준 BAEK JOON 2020. 6. 1. 00:51
이번에 풀어볼 문제는 백준 14503 로봇청소기이다. 시뮬레이션 분류의 문제이며 문제 이해만 잘하면 풀 수 있는 문제이다. 14503번: 로봇 청소기 로봇 청소기가 주어졌을 때, 청소하는 영역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로봇 청소기가 있는 장소는 N×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1×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 www.acmicpc.net 하지만 제대로 이해못하거나 설계를 잘못하면 미궁속에 빠져서 푼거 또 풀고 푼거 또 풀게된다... 나 역시 1주일전에 풀다가 틀린 부분을 못찾아서 1주일 후에 다시 푸는데 성공했다(그사이에 늘긴 늘었다보다..) 내가 실수했던 부분은 후진에 대한 내용이다. 4방향모두 갈곳이 없을 때 청소한 곳을 지나갈 수 있는 방법은 후진뿐인데 잘못이해해서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