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NS의 No Search Name 또는 Server FailureNetwork/Network 2017. 10. 29. 00:32
DNS는 OSI 7계층중 7계층에 속하며 TCP/IP계층에서는 4계층 응용계층에 속하는데 작동원리는 이러하다.1. Client가 특정서버에 접속하고 싶다 2. DNS서버에 도메인명의 ip주소를 질의한다 3. 응답을 받는다 4. Client가 원하던 Server에 접속한다 그런데, 만약 첫 번째 DNS서버에 질의를 했는데 해당 DNS서버가 모른다면?? (DNS캐쉬에 정보가 없거나 hosts파일에 정보가없을 때)-> 다른 DNS에게 물어본다! >> 트리구조로 이루어져 있기때문에 순환적 질의를 한다. 결국 못찾게된다면 어떻게 될까? 바로 No Search Name 또는 Server Failure을 화면에 보여준다.이 둘은 차이가 있다. No Search Name의 경우 DNS 서버가 타임아웃 될 때 까지 응답..
-
UDP는 브로드캐스트만 한다??Network/Network 2017. 10. 29. 00:23
UDP는 비연결형으로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한다. 그러나.. 멀티캐스트와 유니캐스트도 한다. 증명은 DHCP로 할 수 있다. DHCP 프로토콜의 경우 DHCP Server가 host에게 ip를 자동으로 할당하게 되는데 오류(보통 ip충돌)가 발생하게되면 host는 재할당을 요청한다. (DHCP는 자신이 보낸 것에 대한 오류는 관심이 X -> 신뢰성 보장하지X 때문) 그럼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DHCP Server는 해당 host로 재할당을 하게된다 -> 유니캐스트 이러한 현상이 여러 곳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 -> 멀티캐스트 한다고 볼 수 있다.
-
Mysql 시작하기Web/DataBase 2017. 10. 28. 12:58
apt-get install mysql로 설치를 해준다. 보통 칼리리눅스의 경우 이미 mysql이 설치되어있다. 설치가 완료됬다면 다음 명령어로 mysql 서버를 작동시켜주자1/etc/init.d/mysql start 혹시나 재시작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1service mysql restart >> mysql 실행화면 mysql을 사용해보자 -> mysql 입력! Tip! mysql의 명령어에서는 항상 끝에 ' ; ' (콜론) 을 빼먹지 말아야한다. mysql에 어떤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어있는지 확인해보자 1show databases;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기본적으로 셋팅되어있는 database들이 보이게 된다. 사용하고 싶은 database가 있다면 1use 데이터베이스명; 해주면 된다 이때는 ' ; ..
-
라즈베리파이3 칼리리눅스 설치하기ETC/Raspberry pi 2017. 10. 28. 12:03
칼리리눅스를 라즈베리파이에 설치해보자 라즈베리파이에 이용할 SD카드를 준비해준다! 우선 해당링크로 간다. https://www.offensive-security.com/kali-linux-arm-images/ RaspberryPi 2/3을 받아준다 그 뒤 https://sourceforge.net/projects/win32diskimager/에서 Win32 Disk imager을 다운받아 SD카드에 다운받았던 Raspberrypi 2/3을 Win32 Disk imager을 이용하여 넣어준다 완료되었다면 라즈베리파이에 SD카드를 넣고 키보드 마우스 등등 필요한 장치를 연결주고 전원을 켠다 (전원 연결하면 자동으로 부팅됨) >> 부팅화면 >> 부팅이 완료되면 기본적으로 터미널을켜서 Upgrade와 Updat..
-
TCP/IP 4계층 중 응용계층 프로토콜Network/Network 2017. 10. 26. 15:23
TCP/IP 4계층 중 4번째 계층인 응용계층에 속해있는 프로토콜들 UDP : DHCP, BOOTP, RTP, SIP, DNSTCP : FTP, POP, SMTP, HTTP, HTTPS(443)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포트: 67(서버), 68(클라이언트)BOOTP(Bootstrap Protocol) 포트: 67(서버), 68(클라이언트) 이 둘은 모두 ip를 할당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하지만 차이점이 있다. -> DHCP경우 능동적(Dynamic)으로 할당을 하며 BOOTP의 경우 정적(Static)으로 할당한다.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포트 : 25POP(Post Office Protocol) 포트 ..
-
SSL(Secure Socket Layer) 통신 과정Network/Network 2017. 10. 26. 15:01
SSL이란 이름 그대로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송/수신할 때 데이터를 암호화 하여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Osi 7계층에서는 5계층인 세션계층에 해당되며 TCP/IP계층에서는 3계층(전송계층)과 4계층(응용계층)사이에 해당한다. SSL의 원리를 조금더 깊이 설명하자면 SSL은 일단 공개키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공개키 방식은 매우 많은 컴퓨터자원을 소모하기 때문에 효율면에서 좋지가 않다. 그렇다고 대칭키 방식을 사용하지도 않는다. 대칭키 방식의 경우 효율은 좋으나 수신자와 송신자가 동일한 키를 공유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SSL은 공개키와 대칭키의 장점을 합친 방법을 사용한다. SSL 3Way HandShaking으로 그 원리를 보게 되면 1. 클라이언트가 서..
-
NetHunter(Nexus 5x)에서 무선랜카드 사용하기Kali-Linux 2017. 10. 24. 09:32
Nexus 5x로 NetHunter를 올린 뒤 TP-LINK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우선 기본적으로 apt-get update && apt-get upgrade -y 와 모든 업데이트와 업그레이드를 마쳐준다. 1apt-get install firmware-atheros 명령어로 Atheros 펌웨어를 설치해주면 사용이 가능하다. 설치 후에 TP-LINK에 전원이 들어오지 않는 경우엔 ifconfig interface(보통 wlan1) down/up으로 껐다 켜주면 된다. 무선랜 Adapter 드라이버 참조 : https://elinux.org/RPi_USB_Wi-Fi_Adapters